세계 유익 정보/건강

크레송, 슈퍼에서도 간단하게 살 수 있는 「세계 제일의 영양 밀도」를 자랑하는 야채란!? 물 냉이(크레송)

noraneko 2024. 6. 5. 17:55
반응형
상쾌한 향기와 매운맛이 메인 요리를 돋보이게 해주는 크레송.
프랑스 요리등 외식으로 크레송을 보는 기회는 있어도, 평상시의 식사로는 그다지 먹지 않는 분이 많을 것입니다.
그 때문에 크레송의 영양에 대해서도, 생각한 적이 없는 분이 대부분일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의외로 크레송의 영양가는 매우 우수합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별로 알려지지 않은 크레송의 영양과 효능에 대해 자세히 설명합니다.

먹을 때의 주의점도 소개하므로, 꼭 마지막까지 봐주세요.

◆크레송의 영양과 효능

크레송은 미국 질병 예방관리센터 기관지에서 '과일과 채소의 영양밀도 스코어 랭킹 1위'를 획득할 정도로 영양이 풍부합니다.

그런 크레송에 어떤 영양이 담겨 있는지, 바로 살펴보겠습니다.

● 건강에도 미용에도 기쁜 「β-카로틴」

크레송에는 β-카로틴이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습니다.

β-카로틴은 녹황색 야채에 많이 포함되는 성분으로, 크레송도 녹황색 야채의 1종입니다.

그럼 크레송에 얼마나 β-카로틴이 포함되어 있는지 다른 녹황색 야채와 비교하면서 보자.

<β-카로틴(μg)/100g당>

크레송 : 2700
피망 : 400
토마토: 540
브로콜리: 900
호박 : 1400
시금치: 4200
당근: 6900

이와 같이 β-카로틴을 포함한 야채의 대표격인 당근과 비교하면, 크레송의 함유량은 적습니다.

그러나 그 외의 야채를 포함해 전체적으로 보면, 크레송에 포함되는 β-카로틴은 많습니다.

또한 β-카로틴에는 활성산소의 작용을 억제하는 역할이 있습니다.

활성산소란 면역기능 등에 관련된 평소보다 활성화된 산소를 말합니다.

그러나 활성산소가 과잉이 되어 버리면 세포가 손상되어 동맥경화나 노화의 위험이 높아지는 것입니다.

과잉이 된 활성산소의 작용을 억제하고 제거하는 기능이 있는 β-카로틴은 건강에도 미용에도 기쁜 영양소라고 할 수 있네요.


●뼈의 건강에 빠뜨릴 수 없는 「칼슘」

물냉이에는 뼈와 치아의 구성에 필수적인 칼슘도 포함됩니다.

어느 정도의 함유량인지, 방금전과 같이 다른 녹황색 야채와 비교하면서 봅시다.

<칼슘(mg)/100g당>

크레송 : 110
피망 : 11
토마토 : 7
브로콜리: 50
호박 : 20
시금치: 49
당근 : 28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녹황색 야채 중에서는, 크레송의 칼슘양이 두드러져 많다고 알겠네요.


●매운맛의 기초가 되는 「시니그린」

크레송의 매운 맛은 알릴 이소티오시아네이트(알릴 카라시 오일) 때문입니다.

이 알릴 이소티오시아네이트의 기초가 되는 성분을 「시니글린」이라고 합니다.

또한, 알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의 작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살균 효과
★방부 효과
★소화 촉진

따라서 소화촉진 작용이 있는 크레송을 고기요리의 어울리는 것은 영양면에서도 합리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건 그렇고, 크레송을 갈아서 자르고 먹으면 소화 촉진 효과가 높아집니다.

너무 과식해 버렸을 때 등 위가 무겁다고 느낄 때는 크레송을 활용하면 좋을 것입니다.

크레송은 열에 약하다는 사실?

크레송은 너무 뜨거우면 딱딱해져 버립니다.

그러므로 크레송의 식감을 즐기고 싶은 분은, 생으로 즐기면 좋네요.


●가열에 의해 영양가는 내려갈까

크레송을 가열하면 열에 약한 비타민 등 일부 영양소가 줄어들 것입니다.

또한 가열 방법에 의해서도, 영양가의 내려 상태에 차이가 나온다고 알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크레송을 끓이면 물에 녹기 쉬운 영양소의 손실이 크다고 합니다.

같은 가열에서도 찐 경우는 삶은 때보다 물에 녹기 쉬운 영양소는 비교적 보존된다고 합니다.

또한 가열에 의한 시니글린의 변화에 ​​대해서는, 크레송을 사용한 저명한 연구는 발견되지 않았다고 합니다.

참고로, 크레송과 마찬가지로 어브라나과의 야채인 「겨자채」의 연구 결과를 소개합니다.

★겨자채는 삶은 시간이 길어지면, 시니그린의 손실이 커진다.

★겨자채를 찐 경우는, 시니그린의 손실이 적다.

크레송에 포함된 시니그린도, 개채(겨자채)의 연구 결과와 같은 것이 말할 수 있을 것 같네요.

●크레송을 먹을 때 기생충에 주의

크레송에는 간질이라는 기생충이 붙어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肝蛭 간 거머리{간질 디스토마의 일종(一種)}이다.

간질이라는 말에 듣는 기억이 있는 분은 적을지도 모르지만, 의외로 친밀한 장소에 존재하고 있습니다.

소 등의 배설물에 포함된 간질의 알은 논이나 시내 등에서 조개에 기생하는 것입니다.

조개 속에서 자란 후 수중에 나와 물가의 식물인 크레송에 달라붙습니다.

크레송에 붙어있는 간질을 제거하려면 잘 씻는 것이 중요합니다.

간질은 씻으면 떨어뜨릴 수 있으므로 반드시 가열할 필요는 없습니다.

잘 씻으면 생 크레송도 안심하고 드실 수 있어요.


요약

이상, 크레송의 영양에 대해 해설했습니다.

크레송의 특필해야 할 영양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β-카로틴
★칼슘
★시니그린

크레송은 미국 질병 예방관리센터 기관지에서 '과일과 채소의 영양밀도 스코어 랭킹 1위'를 획득할 정도로 영양이 풍부합니다.

메인 요리의 곁들임으로 뿐만이 아니라, 크레송 그 자체를 즐겨 보세요.


참조 및 발췌 : 싱크 건강 블로그

반응형